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R-9A 계통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R-9Ø2 RAGNAROK Ⅱ === ||<tablewidth=100%><-5><table bordercolor=#005666><bgcolor=#005666><:>{{{#F7E6E8 {{{+2 '''R-9Ø2 라그나로크 Ⅱ(RAGNAROK Ⅱ)'''}}}}}}[br]{{{#F7E6E8 {{{+1 ''''최종 파동포 탑재기''''}}}}}}|| ||<-5><bgcolor=#005666><:>{{{#F7E6E8 '''기체 이미지'''}}}|| ||<width=45%>[[파일:R-902_Ragnarok_II.webp|width=100%]] ||<-3><:><nopad> [[파일:RTypeFinal2 R-9Ø2 (1).png|width=1000%]] || ||<:> R-TYPE FINAL||<-3><:>R-TYPE FINAL 2|| ||<-5><bgcolor=#005666><:>{{{#F7E6E8 '''기체 설명'''}}}|| ||||||||하이퍼드라이브 시스템 탑재 덕분에 획득한 발군의 안정성을, 보다 강력한 파동포의 탑재에 사용한 기체. 최강의 기체 중 하나이다.[* 한국 정발판은 "하이퍼드라이브 시스템 탑재를 위해 확보한 안정성을, 강력한 파동포에 사용한 기체." 로 나온다. 다소 오역/오탈자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5><bgcolor=#005666><:>{{{#F7E6E8 '''FINAL 2에서의 기체 설명'''}}}|| ||||||||하이퍼 드라이브 시스템 탑재를 위해 확보한 안정성을, 강력한 파동포 탑재에 사용한 기체.|| ||<-5><bgcolor=#005666><:>{{{#F7E6E8 '''기체 열전'''}}}|| ||||||||<:>"기체 열전 00「 R-9Ø2」"|| ||<-5> 추가 예정? || ||<-5><bgcolor=#005666><:>{{{#F7E6E8 '''기체 개발 조건'''}}}|| ||<|2><bgcolor=#005666><:> {{{#F7E6E8 '''R-TYPE FINAL'''}}}||<-3><width=50%><:> [[R-TYPE FINAL#6.2 역류 공간 (逆流空間)|스테이지 6.2]] 클리어[br]+|| ||<-3><bgcolor=#4B4B4B><:> {{{#FFFFFF R-9Ø 60분 플레이}}}|| ||<|3><bgcolor=#005666><:> {{{#F7E6E8 '''R-TYPE FINAL 2[br]&[br]R-TYPE FINAL 3[br]EVOLVED'''}}}||<-3><:> R-9Ø 개발 완료[br]+|| ||<width=15%><bgcolor=#000000><:>[[파일:솔로니움.png|width=50%]][br]{{{#3399ff '''솔모나듐'''}}}||<width=15%><bgcolor=#000000><:>[[파일:이더리움.png|width=50%]][br]{{{#00ff00 '''에테리움'''}}}||<width=15%><bgcolor=#000000><:>[[파일:바이도겐.png|width=50%]][br]{{{#red '''바이도루겐'''}}}|| ||<bgcolor=#000000><:>{{{#FFFFFF '''500'''}}}||<bgcolor=#000000><:>{{{#FFFFFF '''500'''}}}||<bgcolor=#000000><:>{{{#FFFFFF '''500'''}}}|| ||<-5><bgcolor=#005666><:>{{{#F7E6E8 '''기체 무장 일람'''}}}|| ||<bgcolor=#005666><:>{{{#F7E6E8 '''파동포'''}}}||<-3><:>'''[[파동포(알타입)#기가 파동포|기가 파동포]]'''|| ||<bgcolor=#005666><:>{{{#F7E6E8 '''포스'''}}}||<-3><:>[[포스(알타입)#사이클론 포스 (Cyclone Force)|사이클론 포스]]|| ||<bgcolor=#005666><:>{{{#F7E6E8 '''미사일'''}}}||<-3><:>유도 미사일|| ||<bgcolor=#005666><:>{{{#F7E6E8 '''비트'''}}}||<-3><:>라운드 비트[br]쉐도우 비트|| ||<-5><bgcolor=#005666><:>{{{#F7E6E8 '''그란젤라 공식 Shorts 소개'''}}}|| ||<-5><nopad> [youtube(MKYD9TK6YeE, width=100%)] || '''[[#R-9Leo2 LEO Ⅱ|레오 Ⅱ]], [[BYDO 계통#B-3C2 SEXY DYNAMITE II|섹시 다이너마이트 Ⅱ]]와 더불어 R-TYPE FINAL 시기 최강 기체 중 하나.''' 파동포와 세부적인 기체의 디테일을 빼면 알타입 3의 사이클론 포스 장착 사양을 재현했다. 이 기체의 가장 큰 개성 요소는 최대 7루프까지 축적이 가능한 유일한 파동포인 '''[[파동포(알타입)#기가 파동포|기가 파동포]]'''. Y축 높이가 어쨌든 상관 없이, 화면 왼쪽 끝에 붙어서 7루프 완전충전 사격을 하면 쏘아진 파동포 탄이 '''[[전체판정기|화면을 완전히 꽉 채우면서 날아가며]]''' 플레이어 기체 전방에 있는 사물은 [[즉사기|파괴 가능한 것이면 그것이 잡졸이건, 중형기건, '''심지어 보스라 해도 모조리 쓸어버린다.''']] 깨알같이 후방에도 나름 넉넉하게 판정이 있는 것은 덤. 게임 내의 거의 모든 적을, '''그야말로 파동포 한 방, 많아도 두 방만으로 지워버릴 수 있는 이 게임 최강의 기체 중 하나.''' 특히 파이널2 & 파이널3 이볼브드 환경에서는 "파동 가속권" 티켓으로 파동포 충전 속도를 두 배로 끌어올릴 수 있어서 스테이지 개척 면에서는 상당한 고성능을 자랑한다. 파동포 성능을 보고 간과하기 쉽지만, 이 기체를 완벽한 최강으로 만들어주는 주 무기는 전용 포스인 사이클론 포스로, 전개하면 위의 움짤처럼 포스를 중심으로 위아래로 에너지가 마치 [[해왕성]]의 고리마냥 소용돌이치며 적을 공격하고 적탄도 막아준다. 거기다가 '''유일하게 회수 중 재전개가 가능'''하기 때문에 위치 조절이 자유로워서 파동포를 충전하면서도 포스를 앞 뒤로 연속으로 움직이면서 적들을 정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레이저도 노랑을 빼면 나쁘지 않은 편. * 적색 : 쓰루 레이저(Through Laser) - 빨간 색의 칼날 같은 광탄을 발사한다. 알타입 3에서처럼, 파동포와 함께 지형 관통 효과가 붙어있다. 지형을 지나가는 동안에는 탄체가 좀 작아지고 색도 녹색으로 바뀌며, 공속이 좀 느리지만 튼튼한 중형 적에게도 스탠더드 포스의 대공 레이저보단 약하지만 객관적으론 제법 묵직한 데미지를 준다. * 청색 : 스플래시 레이저(Splash Laser) - 5개 방향으로 작은 레이저 탄을 쏜다. 벽이나 적에게 명중하면 원형으로 폭발하여 스플래시 데미지를 준다. R-TYPE III 땐 탄속도 빨라서 연사력도 나쁘지 않았지만, 파이널 이후로는 탄속이 약간 낮아져 체감 연사력이 줄었다. 그래도 청색의 담당인 대각선 공격에 있어서는 거의 사각지대가 없는 수준이며, 원래는 노랑이 맡을 수직 위아래까지도 공격해주니 빈틈이 적다. * 황색 : 캡슐 레이저(Capsule Laser) - 노란색의 작은 빛 덩어리를 깔아놓고는 그 빛에서 전방으로 짧은 레이저 탄이 발사되는데, 알타입 3에서는 무작정 레이저를 난사되고, 파이널부터는 4발씩 점사하며, 라운드 비트를 사용한다면 이 레이저를 쓸 때 서치 레이저 LRG와 비슷한 녹색의 작은 레이저 탄이 발사되어 공격의 빈틈을 보조한다. 여담으로, 3편 기준으로 볼 때는 별 문제가 없지만, 파이널 기준으로는 '''바이도 소자가 전혀 첨가되지 않은''' 인공 포스인 섀도우 포스를 장착하는 기체의 직계 후속기의 포스가 '''바이도 생명체를 통째로 젤리처럼 가공해 만든''' 역대 최고 수준의 바이도 계수를 가진 포스라는 것이 아이러니.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